분류 전체보기 31

정보보안기사 필기(11/7)시험 준비를 위한 포스팅

정보보안 기사 필시 시험이 11월 7일에 있다.필시 시험을 접수함에 따라, 공부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. 필기시험 대비이므로 전체 내용을 간략하게 훑는 포스팅이 될 예정이다. 정보보안 기사란?정보보안 기사는 시스템 및 솔루션 개발, 운영 및 관리, 컨설팅 등의 전문 이론과 실무능력을 기반으로 IT 기반시설 및 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보안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입증하는 자격증이다. 정보보안 기사 시험 시간 및 일정 제16회 정보보안 기사 시험 일정은 다음과 같다. 회차필기시험 원서접수필기시험필기시험 결과 발표응시자격 서류제출실기시험 원서접수실기시험합격자 발표제 16회 (2020년도 2회)09.21 ~ 09.2511.0711.20(1차)10.05 ~ 10.09 (2차)11.23 ~ 11.2712.1212.3..

정보보안기사 2020.10.05

네트워크보안에센셜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2 안전 해시함수(2)

Hash 알고리즘의 수학적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진짜 너무 어렵다. 100% 이해하기보다는, 일단 어느 정도 알고 넘어가야겠다. 나중에 반복해서 보면 언젠가는 100% 이해할 날도 올 거라고 생각한다. 또한, 실무에서는 해시 알고리즘의 구조를 100% 이해하지 않아도 일하는데 크게 지장은 없다. 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2 안전 해시함수(2) □ SHA-512 알고리즘의 구조 Step 1. 패딩 비트 붙이기 메시지를 추가하여 총 길이를 896(mod1024)이 되도록 만든다. 메시지 길이가 이미 896(mod1024)라면 1024bit를 추가한다. 그러면 패딩비트의 길이 L은 1≦L≦1024이다. 패딩 비트의 첫 번째 값은 1이고 나머지 비트는 모두 0이다. Step..

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2 안전 해시함수(1)

하루에 1개의 소단원씩 끝내는건 도저히 못하겠다. 뒤로 갈수록 점점 더 어렵다. ㅠㅠ 정보보호에서 암호학이 가장 자신있는 분야라고 생각했는데, 암호 챕터가 끝나면 좀 쉬워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. ㅠㅠ 안전 해시함수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며칠동안 붙잡고 있었다. 그래서 100%이해한 것 같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이해한 내용을 적기로 했다. 그래서 안전해시함수 소단원을 끝내지 못했지만 1/2 포스팅 하겠다. 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2 안전 해시함수(1) □ 안전 해시함수(Secure Hash Function) ㅇ 메시지 인증, 디지털 서명 등에 활용된다. ㅇ 해시함수의 목적은 파일, 메시지, 데이터블록에 대한 지문(Finger Print)을 생성하는 것이다..

ISMS-P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정리(6) 제29조 ~ 제32조

개인정보보호법 제4장 "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"(제29조 ~ 제34조의2) 에서는 개인정보의 안전조치 의무,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수립,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지정, 개인정보 파일의 등록 및 공개, 개인정보 보호 인증, 개인정보 영향평가, 개인정보 유출 통지, 과징금 부과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. 오늘은 4장을 살펴보겠다. ISMS-P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정리(6) 제29조 ~ 제32조 제29조(안전조치 의무) ㅇ 개인정보 처리자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하여야 한다.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한 내부 관리계획의 수립ㆍ시행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통제 및 접근 권한의 제한 조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의 적용 또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 개인..

ISMS-P 2020.09.22

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1 메시지 인증 방법

Chapter 02. 대칭 암호와 메시지 기밀성Chapter 03. 공개키 암호와 메시지 인증 - 3.1 메시지 인증 방법 암호를 사용하여 적극적 공격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메시지 인증 방법이 있다. 데이터가 인증된다는 말은 데이터가 진짜이고 송신자라고 주장하는 근원지로부터 왔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□ 관용 암호를 이용한 인증 메시지가 오류 감지 코드와 순서 번호를 포함하는 방법 - 수신자는 메시지가 변경되지 않고, 순서도 틀리지 않았음을 확신할 수 있다.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방법 - 메시지가 지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지연 이외에 고의적으로 지연되지 않았음을 확신할 수 있다. □ 메시지 암호화 없이 메시지 인증하기 ㅇ 메시지 암호화 없는 메시지 인증이 필요한 경유 동일한 메시지를 다..

ISMS-P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정리(5) 제23조 ~ 제28조

오늘은 제3장 개인정보 처리 - 제2절 개인정보의 처리제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다. 개인정보보호법만 5번째 포스팅인데, 아직 반도 못 보았다. 생각보다 양이 너무 많다. ISMS항목에서 개인정보 관련 항목 비중은 1/3정도밖에 안되는데, 정보통신망법보다 개인정보보호법이 더 확인해야 할 내용이 많다. 개인정보가 대부분 법률과 유관한 분야이기 때문일 것이다. 제23조(민감정보의 처리 제한), 제24조(고유식별정보의 처리 제한) 민감정보와 고유식별정보의 처리에 대한 규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한꺼번에 살펴보겠다. ㅇ 민감정보의 범위 사상/신념 노동조합/정당의 가입/탈퇴 정치적 견해 건강, 성생활 등에 관한 정보 유전정보 범죄경력정보 개인의 신체적, 생리적, 행동적 특징에 관한 정보로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목적으..

ISMS-P 2020.09.16

ISMS-P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정리(4) 제21조 ~ 제22조

오늘은 제3장 개인정보 처리 - 제1절 개인정보의 수집, 이용, 제공 등의 마지막 조항인 제21조와 22조를 살펴보고자 한다. 제21조(개인정보의 파기) ㅇ 개인정보처리자는 보유기간의 경과, 처리 목적의 달성이 되면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복구되지 않도록 파기한다. 전자적 파일 형태 : 영구삭제 기록물, 인쇄물 서면, 기록매체 : 파쇄, 소각 ㅇ 법률에 따라 보존하여야 하는 근거가 있으면 보유기관이 경과하여도 보존할 수 있다. 이 경우에는 운영 중인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저장하여야 한다. 제22조(동의를 받는 방법) ㅇ 개인정보 동의를 받을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동의를 받아야 한다. 동의 내용이 적힌 서면을 정보주체에게 직접 발급하거나 우편 또는 팩스 등의 방법으로 전달하고, ..

ISMS-P 2020.09.16

Chapter 02. 대칭 암호와 메시지 기밀성 - 복습문제

원래 계획은 매 단원이 끝날 때마다 복습 문제와 연습문제를 푸는 것이었는데, 연습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못 풀 것 같다. (사실 노력도 안 해봤지만, 올해 안에 진도를 빼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, 연습문제에 시간을 들이기가 어려울 것 같다.) 그래서 복습문제만이라도 풀어보기로 했다. 네트워크 보안 에센셜(Network Security Essential, William Stallings 저, 이재광/전태일 공역, 생능출판사) p.100 02. 대칭암호와 메시지 기밀성 - 복습 문제 2.1 대칭 암호의 핵심적 요소는 무엇인가? 평문 암호 알고리즘 비밀 키 암호문 복호 알고리즘 2.2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적 기능은 무엇인가? 강한 암호 알고리즘 송신자와 수신자는 비밀키를 안전하게 획득하고..

Chapter 02. 대칭 암호와 메시지 기밀성 - 2.5 암호 블록 운용 모드

Chapter 02. 대칭 암호와 메시지 기밀성 2.5 스트림 암호와 RC4 블록 암호를 다양한 응용에 사용하기 위해 NIST에서는 5가지 운용 모드를 정의하였다. 이 5가지 운용모드는 모든 대칭 블록 암호에 적용이 가능한다. □ 전자 코드북 모드(ECB) 한 번에 b비트 크기의 블록으로 쪼갠다 동일한 키로 각 블록을 암호화한다. 암호 블록 - 평문 블록이 1:1 매칭 된다. 같은 평문 블록이 나타나면 동일한 암호문이 생성기 때문에 긴 메시지에는 안전하지 않다. 메시지에 b비트의 배수를 주기로 반복되는 요소가 있다면 쉽게 해독이 가능하다 => 같은 평문이 반복되더라도 동일하지 않은 암호 블록을 생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. □ 암호 블록 체인 모드(CBC) 현재의 평문 블록과 바로 직전의 암호 블록을 XOR..

ISMS-P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정리(3) 제18조 ~ 제20조

개인정보보호법에서 15조 ~ 22조는 개인정보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조항이다. 제15조~제16조 개인정보의 수집/이용 제17조~제20조 개인정보의 제공, 목적 외 이용/제공 제21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22조 동의를 받는 방법 그중 오늘은 개인정보의 제공 및 목적 외 이용/제공 관련 내용인 제18조 ~ 제20조까지 살펴보겠다.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정리하여야 하는 내용이 정보통신망법보다 훨씬 많다. 제18조(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ㆍ제공 제한) ㅇ개인정보를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3자에게 이용할 수 있는 경우 (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1,2호만 해당, 5~9호는 공공기관만 해당) 정보주체로부터 별도의 동의를 받은 경우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정보주체 또는 법정대리인이 의사표시를 할 ..

ISMS-P 2020.09.15